
1. 전국적인 상승세 소폭 축소
- 전국: 지난주 대비 상승폭이 0.03%에서 0.02%로 축소.
- 수도권: 상승폭이 0.08%에서 0.06%로 줄어듦.
- 서울: 상승폭 0.08%를 유지.
- 지방: -0.03%의 하락폭 유지.
2. 시도별 전세가격 변동률
- 인천: 0.13% 상승.
- 전북: 0.07% 상승.
- 경기: 0.04% 상승.
- 대전: 0.02% 상승.
- 울산: 0.02% 상승.
- 전남: 변동 없음.
- 대구: -0.13% 하락.
- 경남: -0.05% 하락.
- 경북: -0.05% 하락.
- 충남: -0.05% 하락.
3. 상세 지역별 동향
- 서울 강북: 성동구, 노원구, 은평구, 서대문구 등이 상승.
- 서울 강남: 구로구, 금천구, 강서구, 양천구 등이 상승.
- 인천: 부평구, 연수구, 미추홀구, 남동구, 서구 등이 상승.
- 경기: 성남 중원구, 수원 영통구, 부천 오정구 등이 상승, 하남시, 파주시, 과천시 등은 하락.
- 5대 광역시 및 세종, 8개도 동향
- 5대 광역시: 대구는 하락세를 보임.
- 세종: 입주물량 등의 영향으로 하락.
- 8개도: 경남 거제시, 창원 성산구 등이 하락.
4. 전망
공표지역 178개 시군구 중 상승 지역은 감소하고, 보합 지역은 증가, 하락 지역은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매매시장의 불확실성과 신생아 특례 전세자금 대출 시행 등의 영향으로 전세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특히 역세권이나 신축 선호단지에서 더욱 두드러지고 있습니다.


*출처: 한국부동산원 보도자료
반응형
'부동산 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 2024년 3월 3주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매매) (0) | 2024.03.23 |
---|---|
공시가격 현실화 전면 폐지 (0) | 2024.03.22 |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 2024년 3월 2주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매매) (0) | 2024.03.16 |
토지임대부 분양주택의 새로운 동향 (0) | 2024.03.13 |
마포 공덕7구역 신통기획 심의 통과 (0) | 2024.03.11 |